리피터 (Repeater)
- 작동 계층 : 물리 계층
- 기능: 리피터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비트 단위로 복사하여 원래 신호의 강도로 재생. 신호가 약해지기 전에 신호를 증폭하여,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신호의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 주로 두 개의 포트를 가진 장치
허브 (Hub)
- 기능 : 허브는 여러 포트를 가진 멀티 포트 리피터. 들어오는 데이터 패킷을 모든 포트로 전송. 데이터 필터링이 없기 때문에, 모든 장치가 하나의 충돌 도메인에 속하게 되어 데이터 충돌 가능성이 높음. 현재는 스위치로 거의 대체
브리지 (Bridge)
- 작동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기능 : 브리지는 리피터의 기능에 추가로, 데이터 패킷의 MAC 주소를 읽어 해당 패킷을 필터링. 두 개의 LAN을 서로 연결하여 트래픽을 관리 할 수 있으며, 충돌 도메인은 두 개의 LAN으로 나누어짐.
스위치 (Switch)
- 작동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기능 : 스위치는 여러 포트를 가진 브리지로, 각 포트에 버퍼를 두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 스위치는 패킷 오류 검사를 수행하여, 오류가 없는 패킷만을 올바른 포트로 전송. 각 호스트의 충돌 도메인을 나누어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임
스위칭 허브 (Switching Hub)
- 스위치의 기능을 포함한 장치로, 일반적으로 더 간단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
- 기능 : 스위칭 허브는 여러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멀티 포트 장치로, MAC 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포트로만 데이터를 전송.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을 높이고, 충돌 도메인을 분리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킴
라우터 (Router)
- 작동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기능 : 라우터는 IP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 LAN과 WAN을 연결하며, 동적으로 업데이트되는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최적의 경로를 결정.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방화벽 기능과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능을 제공하여 보안성을 강화. 또한,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