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DNS1.1. What is DNS?DNS (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 "google.com"을 입력하면, DNS 서버는 "google.com"에 해당하는 IP 주소 (예: 142.250.200.14)를 알려줍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터넷 통신의 핵심 기반을 제공합니다.1.2. Types of DNS Attack하지만 초기 DNS는 보안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되어 다음과 같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습니다.DNS 스푸핑 (DNS Spoofing): 공격자가 DNS 서버를 속여 가짜 IP 주소를 알려주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공격자는 취약한 DNS 서버를 공격하거나, 응답을 가로채 위조된 ..
오픈스택의 구성요소들을 Dalmatian 릴리즈를 기준으로 하나씩 카테고리 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OpenStack ServicesComputeNova오픈스택 Compute 서비스 Nova는 오픈스택의 핵심 서비스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가상머신의 프로비저닝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클라우드 환경에서 수천 개의 가상 서버 인스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KVM, VMware, Xen, Hyper-V, LXC와 같은 다양한 하이퍼바이저를 지원하고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Nova의 가장 중요한 역할의 가상머신의 전체 라이프사이클 관리와 리소스 스케줄링입니다. 가용한 컴퓨트 노드에서 최적화된 방식으로 가상머신을 배치하며, 호스트 서버의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고려한 ..
1. 순환신경망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은 시퀀스 데이터나 순차적인 정보 처리가 필요한 문제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인공신경망의 한 종류입니다. 순차 데이터를 처리하여 정확한 예측을 하려면, 과거의 데이터를 어느 정도 기억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RNN은 일반적인 신경망과 달리, 내부에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이전의 입력 정보(숨겨진 상태)를 현재의 계산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의존성을 학습할 수 있고 자연어 처리와 같이 순서정보가 담긴 데이터나 시계열 데이터를 다루는데 적합한 신경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순환신경망 구조2.1. 기본적인 RNN 구조기본적인 RNN 구조는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으로 구성됩니다. 은닉층은 시..
소개Amazon Bedrock은 AWS(Amazon Web Services)에서 제공하는 생성형 AI(Generative AI)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사전 학습된 AI 모델을 API를 통해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잡한 인프라 관리 없이도 AI 기술을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Amazon Bedrock은 AI 모델 구축 및 운영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개발자가 AI의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멀티모델 지원Amazon Bedrock은 다양한 생성형 AI 모델(Amazon Titan, Anthropic Claude, Meta Llama 3..
1. 재진입 공격1.1. OWASP Smart Contract Top 10OWASP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발생한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여 OWASP Smart Contract Top 10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취약점으로 재진입 공격(Reentrancy Attack)이 꼽힙니다.재진입 공격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문제가 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의 대표적인 취약점입니다.1.2. 재진입 공격 개념재진입 공격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상태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외부 함수를 호출할 때 발생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입니다. 공격자는 이 외부 호출 시점에서 컨트랙트를 다시 호출하여 상태 업데이트를 방해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해 자금을 탈취할 수 있습니다.즉, 공..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